티스토리 뷰

PER 이익이랑 주가가 무슨상관이죠 썸네일

1. PER란? 뉴스에 자주 나오는 그 숫자

PER는 Price to Earnings Ratio의 약자로,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이에요.
쉽게 말하면, 이 회사가 벌어들이는 이익에 비해 주가가 비싼지, 싼지를 보여주는 숫자예요.

2. PER 계산은 어떻게 하나요?

계산식은 간단합니다 👇

PER = 현재 주가 ÷ 주당순이익(EPS)

예를 들어 A기업의 현재 주가가 2만원이고, EPS가 2,000원이라면:

PER = 20,000 ÷ 2,000 = 10배

즉, 이 회사의 ‘이익’을 기준으로 주가는 **10년치 이익만큼 가격이 붙어 있는 것**이에요.

3. PER이 낮으면 좋은 건가요?

많은 사람들이 PER이 낮으면 저평가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아요. PER이 낮은 이유는:

  • 회사가 이익은 많지만 성장성이 떨어지거나
  • 미래가 불확실하다고 시장이 평가하거나
  • 혹은 일시적으로 주가가 많이 빠졌거나

PER은 '혼자' 보면 오해의 소지가 있어요. 그래서 우리는 PBR, ROE, 성장성, 배당률 등과 함께 보는 습관을 길러야 해요.

4. PER 실제 예시로 이해해보기

예를 들어 KT&G는 꾸준히 이익을 내는 고배당 기업인데, PER이 7배 안팎이에요. 즉, 주가가 1년 이익의 7배 수준이라는 뜻이죠.
반면, 고성장 테크 기업인 팔란티어는 이익이 거의 없어 PER 계산조차 어렵거나 수백 배가 될 수 있어요.
💡 PER = 안정성 + 성장성 + 시장 기대치를 반영한 숫자라는 걸 기억해 주세요!

5. 오늘의 투자 공부 한 줄 요약

“PER은 주가가 이익에 비해 비싼지 싼지 알려주는 지표”
하지만 숫자 하나에만 의존하지 말고, 기업의 전체 체력과 미래를 함께 봐야 진짜 저평가인지 알 수 있어요.

주식은 숫자 게임이 아니라, 이해의 게임입니다 😌

PER 개념을 설명하는 재무지표 이미지

🔙 이전글 보기 | Ep.2 – 뉴스에 나오는 ‘PBR 0.4배’가 무슨 뜻일까?
⏳ 다음글 예고 | Ep.4 – EPS? 주당순이익은 왜 중요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