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PER이 낮다고 무조건 저평가일까요? [주.알.못 탈출 일기] 시리즈 3편에서는 주가수익비율(PER)의 개념과 오해, 그리고 실전 비교 사례까지 함께 분석합니다.
PER 뜻 한 줄 요약
PER(Price to Earnings Ratio)은 주가 ÷ 주당순이익(EPS)입니다. 쉽게 말해, "이 회사가 벌어들이는 이익 대비 주가가 몇 배인가?"를 보는 지표죠.
PER이 낮으면 무조건 좋은가?
일반적으로 PER이 낮으면 ‘저평가’라고 합니다. 하지만 조심하세요. PER이 낮은 이유는 다양합니다. 예를 들어:
- 기업의 성장성이 낮을 경우
- 일시적으로 이익이 과도하게 증가했을 경우
- 비경쟁 산업군일 경우
PER로 알 수 없는 진실
PER은 ‘이익’을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적자 기업이나 회계상 이익 왜곡이 있는 기업에선 무용지물입니다. 또 경기순환에 민감한 업종은 PER이 낮아도 '바닥'이 아닐 수 있어요.
PER, PBR, ROE 관계 정리
이 세 가지는 서로 연결돼 있습니다:
- PER = PBR ÷ ROE
- PBR이 낮고 ROE가 높다면 PER도 낮습니다.
- 즉, PER만 보는 것이 아니라, PBR과 ROE까지 함께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전! PER 비교 사례 분석
예를 들어 은행주를 살펴보면,
종목 | PER | PBR | ROE |
---|---|---|---|
신한지주 | 5.1 | 0.4 | 8% |
하나금융지주 | 4.8 | 0.37 | 7.7% |
이렇게 PER만 보면 비슷하지만, PBR과 ROE를 함께 봐야 정확한 판단이 가능합니다.
정리하자면
- PER은 기업가치 판단의 중요한 지표이지만
- 절대적 기준은 아님!
- 항상 PBR, ROE와 함께 보면서 맥락을 파악할 것
'은퇴 준비 연구소 > 저평가 우량주 장기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R? 이익이랑 주가가 무슨 상관이죠?” – 숫자 하나로 보는 기업의 ‘몸값’ (1) | 2025.07.30 |
---|---|
뉴스에 나오는 ‘PBR 0.4배’가 무슨 뜻일까?” – 숫자에 약한 나도 이해해본 재무비율 이야기 (1) | 2025.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