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주.알.못 탈출 일기], PER 뜻, PER 낮은 주식, 주식 PER 보는 법, PER 가치주, PER 높으면 나쁜 건가, PER 해석법, PER 저평가, PER 고평가, PER 주식 용어, PER 실전 활용

👉 실적 대비 주가? 함정도 있다!

PER이 낮으면 좋은 주식일까 썸네일 이미지

1. PER이란?

PER (주가수익비율)은 말 그대로 기업의 주가가 이익에 비해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예요.
공식은 간단합니다: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예를 들어, A기업의 주가가 100, 주당순이익이 10이면 PER은 10배입니다.

📘 주당순이익(EPS)이란?

EPS (Earnings Per Share), 즉 주당순이익은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을 발행한 주식 수로 나눈 값을 의미해요.

EPS = 순이익 ÷ 발행주식수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이 1년 동안 1,000억 원을 벌었고, 발행한 주식 수가 1억 주라면:

EPS = 1,000억 ÷ 1억 = 1,000원

즉, 한 주당 1,000원의 이익을 벌었다는 뜻이에요. 이 숫자는

기업의 수익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

이 되며, PER 계산의 분모로 사용됩니다.

EPS가 높을수록 ‘이익을 잘 내는 기업’으로 평가받지만, 일회성 이익이 포함된 경우 왜곡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해요.

2. PER이 낮다는 건?

보통 PER이 낮으면 “이 회사는 싸다!”라고 해석하기 쉬워요.
하지만 PER이 낮은 이유는 다양합니다. 진짜 저평가일 수도 있고, 미래 실적이 악화될 우려가 반영된 것일 수도 있죠.

3. PER의 함정

PER은 ‘이익’이 기준이에요. 그런데 이익이 일시적으로 급등했거나, 회계상 숫자 조작이 있다면 PER이 낮아보일 수 있어요.
예시: 흑자 전환한 기업의 PER은 급락하지만, 지속 가능하지 않다면 ‘가치 함정’일 수 있죠.

4. 업종 평균과 비교

PER은 업종별 기준이 달라요.
- 정유/철강 등 전통산업은 PER이 낮고, - 성장주/테크 기업은 PER이 높게 형성돼요.
따라서, 동일 업종 내에서 PER을 비교해야 정확합니다.

5. PER 실전 활용법

  • PER이 낮은 종목은 왜 낮은지 이유부터 따져보기
  • 동일 업종 평균 PER과 비교
  • ROE, PBR, 영업이익률 등과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

6. 정리하며

PER이 낮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건 아닙니다.
하지만, PER이 지나치게 낮은 기업 중에서도 진짜 저평가된 가치주가 있을 수 있어요.
반대로 PER이 낮아도 이익의 지속 가능성이 떨어지면 ‘가치 함정’에 빠질 수도 있고요.

주.알.못 탈출을 위한 핵심! 지표 하나만 보고 투자하지 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