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상계주공6단지 재건축 - 신통 자문 진행 & 70~75% 진입전략 계산기

업데이트: 2025-08 · 기준 평형: 전용 84㎡(30평형) · 위치: 노원구 노원역 생활권
 
상계주공6단지 재건축
상계주공6단지 재건축

 

한눈에 보는 핵심 요약

진행
신속통합기획(신통) 자문 신청
정비계획·구역지정 단계 — 공식 고시 대기
전략
총투자금 ≤ 준신축의 70~75%
리스크 프리미엄을 가격으로 확보
체크
대지권·일반분양 비율 즉시 확인
권리가액·분담금 민감도 핵심 변수

진입전략 (2025년 8월 기준)

70~75% 룰 — 총투자금(매입가 + 예상 분담금)이 인근 준신축 시세의 70~75% 이하일 때만 선제 진입합니다. 정비계획 고시 이후 호가가 점프할 수 있으므로, 고시 전 구간에서 가격 디스카운트를 확보하는 전략이 유효합니다.

  • 협상 기준: 호가에서 최소 1억 내외 디스카운트 시도(리스크 프리미엄 논리 제시).
  • 분담금 가정: 정비계획 전 단게 → 2.0~3.0억 보수 가정으로 역산.
  • 시점: 신통 자문 수용·정비계획 고시 직전/직후 초기 구간이 최적.

가격 시뮬레이션 계산기 (즉시 결과)

예: 래미안/중계센트럴 등 보수치
정비계획 전: 2.0~3.0억 가정
계산하기 70% 기준 75% 기준 정비사업 클린업시스템
준신축 시세: 14.5 분담금: 2.5 목표: 70~75%
구간 총투자금 상한(억) 매입가 상한(억) 판정
하한(70%) 10.15 7.65 안전(권장)
상한(75%) 10.88 8.38 주의(상한)
분담금 가정 매입가 상한(70%) 매입가 상한(75%)

Tip: 분담금을 바꿔보며 협상 목표가를 역산하세요.

정비구역 내 핵심 체크포인트

① 대지권 비율(가구당 대지지분)

  • 같은 평형이라도 대지지분 차이가 큼 → 권리가액·분담금에 직접 영향.
  • 30평형 기준 18㎡ 이상 양호, 20㎡ 이상 우수(분담금 방어력↑).
  • 지분이 작다면 가격을 더 낮춰 리스크를 가격으로 상쇄.

② 일반분양 비율

  • 1:1 재건축에 가까울수록 일반분양 수익↓ → 조합원 분담금↑.
  • 신통·역세권 인센티브로 일반분양 확대 가능성 확인.
  • 정비계획(안) 공개 시, 일반분양 세대수 & 분양가 가이드 즉시 점검.

③ 상계주공6단지 권리가액 추정표 (2025년 8월 가정)

토지 ㎡당 단가 가정: 보수 800만 / 기준 1,000만 / 낙관 1,200만. 실제 권리가액은 감정평가·비례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평형 (대지지분) 보수적 (㎡당 800만) 기준 (㎡당 1,000만) 낙관 (㎡당 1,200만)
13평 (21.99㎡) 1.76억 2.20억 2.64억
17평 (27.34㎡) 2.19억 2.73억 3.28억
20평 (33.04㎡) 2.64억 3.30억 3.96억
23평 (36.69㎡) 2.94억 3.67억 4.40억
24평 (38.40㎡) 3.07억 3.84억 4.61억

70~75% 룰 계산기 (총투자금 = 매입가 + 분담금)

① 입력값

예: 래미안/중계센트럴 등 보수치
둘 다 입력 시 분담금 = max(분양가–권리가액, 0)
정비사업 클린업시스템

② 결과 요약

준신축 시세: 14.5 매입가: 8.00 분담금: 2.50 총투자금: 10.50
구간 허용 총투자금 상한(억) 판정
하한(70%) 10.15 안전(권장)
상한(75%) 10.88 주의(상한)

민감도 (분담금 가정치별 허용 매입가 상한)

분담금 가정 (억) 매입가 상한(70%) 매입가 상한(75%)
Tip: 권리가액이 큰 물건일수록 분담금이 줄어 총투자금이 70% 구간에 들어가기 쉬워집니다.

※ 본 계산기는 참고용입니다. 실제 감정평가·비례율·분양가 고시·금리 등에 따라 수치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결론

상계주공6단지는 신통 자문 단계로 볼륨 상향을 모색 중이며, 정비계획·구역지정 고시 에는 총투자금 ≤ 준신축의 70~75% 룰로 가격 디스카운트 확보가 관건입니다. 공식 문서(정비계획안·일반분양 수량·분담금 가이드)가 공개되는 즉시 계산기에 반영해 “매입가 상한”을 업데이트하세요.

※ 본 도구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실제 분담금·시세·대출 조건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조합원 분양가(추가분담금) 추정 가이드

1) 기본 공식 구조 이해

조합원 추가분담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조합원 추가분담금 = 조합원 분양가 – 권리가액
권리가액 = (감정평가액 × 비례율)
    
  • 조합원 분양가: 분양가심사(토지+건축비+이윤) 결과를 반영.
  • 권리가액: 감정평가액(토지·건물) × 비례율(사업성 지표).

2) 예측을 위한 입력 데이터

  1. 예상 일반분양가 (인근 준신축 시세·유사 분양사례 기반)
  2. 예상 권리가액 (가구별 대지지분 × ㎡당 감정가; 건물가치는 노후 시 최소)
  3. 예상 비례율 (유사 사업장·조합 자료에서 범위 확보: 예 90~120%)
  4. 일반분양 비율 (1:1에 가까울수록 조합원 분담 압력↑)

3) 간이 추정 절차

  1. 분양가 가정 예: 전용 84㎡ 분양가 14억
  2. 권리가액 계산 예: 대지지분 38㎡ × ㎡당 1,000만 = 3.8억 (비례율 100% 가정)
  3. 추가분담금 = 14억 – 3.8억 = 10.2억
  4. 총투자금 = 매입가 + 추가분담금 → 인근 준신축 시세 대비 70~75% 룰로 안전마진 판단

4) 정확도 높이는 방법

  • 정비사업 클린업시스템에서 추정분담금표·사업(정비)계획서·공고 열람
  • 조합 총회 자료의 총사업비·비례율·공사비 단가 확인
  • 유사 단지 비교 (동일 생활권·유사 용적률/규모의 최근 감정가·비례율 차용)
  • 민감도 분석: ㎡당 감정가(보수/기준/낙관)와 분양가± 시나리오로 범위 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