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나의 노후 설계는 얼마나 잘 준비되고 있는지 생각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 '열심히 살다 보면 돈은 벌겠지. 그때 가서 생각하지' 하시는 분도 계실 것이고 부모님 용돈 드려야지 아이들 사교육비 마련해야지 등 이런저런 현실적인 이유로 노후준비를 생각할 여유조차 못하신 분들도 계실 겁니다. 그런데 나의 노후, 우리 부부의 노후 아닌가요? 현실적인 이유 등을 불문하고 계획과 실천을 위한 심도 있는 준비는 필수입니다. 노후설계의 기본은 단연 '연금' 입니다. 안정적인 현금흐름 이야말로 나와 배우자를 지켜줄 수 있는 최고의 평생 친구입니다. 그러면 연금소득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 그리고 얼마나 있어야 하는지 하나씩 고민해 봐야겠지요. 나의 노후 설계를 위한 작은 실천, 생각하고 고민하셨다면 이제 시작하신 겁..

노후에 평생월급이 되어줄 국민연금 가입자 643만명 시대, 국민들의 뜨거운 관심사는 무엇일까요? 바로 내가 얼마나 수령할 수 있는지 아닐까요. 그런데 특히 눈길을 끄는 데이터가 있습니다. 바로 최고 연금액은 얼마인지, 또 누적수령액은 얼마인지, 최장기 수급기간은 얼마나 되는 관련 데이터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 내용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개인에 따라 큰 차이가 날 수 있지만 내 예상 수령액과 비교해 보고 긍정의 마인드를 가지고 꾸준히 국민연금을 납입할 수 있는 동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국민연금은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으로 분류됩니다. 아래 [표1]은 대상별 통계 기네스 자료입니다. [표1] 2023.4월 기준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 최고 수령액(매달) 266만원 196만원 137만원 최고 누적 수..

키워드 계산법, 조건, 신청방법, 장단점, 나이, 소득, 서류, 지급정지, 감액률, 수급, 몇 살부터 받는 게 유리할까 국민연금 조기수령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그 배경에는 단연 작년 9월 시행된 건강보험료 부과체게 개편이 있습니다. 조기노령연금은 최대 5년을 앞당겨 미리 받는 것이데 '감액'이라는 리스크를 감수하고 건보료 폭탄을 피하기 위한 수단이 되어버렸습니다. 2022년 9월 건강보험료 피부양자 소득인정 기준이 연 2000만원(기존 3400만원)으로 강화되었습니다. 2000만원이 넘는 국민연금 수급자는 건강보험료 피부양자에서 제외, 지역가입자로 전환됩니다. 그러면 수십만원 안팎의 보험료 납부 부담이 커지게 됩니다. '건보료 폭탄'이라는 말이 나올만합니다. 과연 조기노령연금..

'국민연금' 하면 국민 대부분 '그런 제도가 있지... ' 정도로만 알고 있는 분들이 많습니다. 우리나라 국민 노후의 기본적인 사회보장제도임에도 불구하고 관심이 아직 많이 부족한 것도 사실이죠. '국민연금은 들어봤는데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은 또 뭐지?' 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오늘은 국민연금 급여 종류에 대해서 공유해 보겠습니다. 이하 내용 출처 :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급여 종류 우리가 나이가 들고 질병이나 부상으로 장애를 얻거나 사망 등으로 인해 가구의 소득이 감소할 때 위기를 겪습니다. 이때 정부가 국민에게 일정한 급여를 지급해서 소득을 보장하는 사회보험으로서 지급하는 것이 국민연금입니다. 국민연금은 연금급여(매월지급), 일시금급여로 구분됩니다. 연금급여는 노령연금, 분할연금, 장애연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