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기업분석 완전 로드맵 A to Z
재무제표부터 가치평가까지 투자공부의 정석

1️⃣ 기업분석의 목적 이해

기업분석의 첫걸음은 숫자를 해석하기보다 “이 기업이 돈을 어떻게 버는가”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즉, 사업모델·고객·수익구조·경쟁력·리스크를 이해하는 것이 핵심이죠.

  • 사업모델: 어떤 제품·서비스로 매출을 내는가
  • 고객: B2C vs B2B
  • 수익구조: 매출과 원가 구조
  • 경쟁력: 기술력, 브랜드, 진입장벽
  • 리스크: 경기·환율·규제 영향

💡 예시 – 삼성전자: 반도체·모바일·디스플레이 3대 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문별 마진 구조가 다릅니다.


2️⃣ 재무제표 읽기 – 손익·재무상태표·현금흐름표

기업의 재무제표는 체질을 보여주는 “건강검진표”입니다.
분석 순서는 손익계산서 → 재무상태표 → 현금흐름표입니다.

① 손익계산서

  •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의 추세
  •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 ÷ 매출
  • 순이익률 = 순이익 ÷ 매출

② 재무상태표

  • 부채비율, 유동비율, ROE
  • 자산·부채·자본 구조 파악

③ 현금흐름표

  • 영업CF: 기업의 현금창출력
  • 투자CF: 설비·지분 투자 내역
  • 재무CF: 배당·차입·자사주 변화

💡 삼성전자 사례: 영업이익률 2021년 19% → 2023년 11% (반도체 경기 둔화 영향), 부채비율 40% 미만으로 안정적.


3️⃣ 재무비율분석 및 트렌드 읽기

지표 의미 좋은 기준
PER 이익 대비 주가 낮을수록 저평가
PBR 자산 대비 주가 1배 이하 저평가
ROE 자기자본이익률 10% 이상 우량
ROA 총자산이익률 5% 이상 양호
부채비율 재무안정성 100% 이하 안정적

📊 삼성전자 vs TSMC 비교: ROE·영업이익률·CAPEX 비중을 비교해 효율성과 성장성 판단.


4️⃣ 산업분석 및 경쟁사 비교

같은 산업 내에서 상대평가를 해야 의미가 있습니다.
반도체, 자동차, 플랫폼 산업 등은 모두 성장 사이클진입장벽이 다릅니다.

  • 산업 사이클: 성장기, 성숙기, 침체기
  • 주요 경쟁사: TSMC, 인텔, SK하이닉스
  • 트렌드: AI 반도체, HBM 수요 급증
  • 리스크: 원재료 가격, 환율, 수요 둔화

5️⃣ 가치평가(Valuation)

기업의 “적정주가”를 계산하는 단계입니다.

평가방식 개념 활용 예시
PER 방식 이익 × 업종평균 PER 삼성전자 적정가 ≈ EPS × 업종PER
DCF 방식 미래 현금흐름을 할인 엔비디아·성장주에 적합
PBR 방식 자산가치 기준 금융/제조업 분석 시 유용

6️⃣ 투자 인사이트 도출

이제 숫자를 넘어, “왜 지금 이 주식이 매력적인가?”를 논리적으로 도출해야 합니다.

  • 실적 모멘텀: 반도체 업황 회복
  • 밸류에이션: 역사적 PER 하단
  • 리스크: 글로벌 수요 둔화, 환율 변동

7️⃣ 리포트 작성 실전

기업분석의 마무리는 직접 리포트를 써보는 것입니다.

  1. 기업 개요
  2. 사업부문 및 매출 구조
  3. 최근 실적 요약
  4. 재무비율 분석
  5. 산업동향 및 경쟁사 비교
  6. 향후 전망
  7. 투자포인트 & 리스크
  8. 결론 (적정주가 및 의견)

8️⃣ 추천 학습자료 및 툴

  • 📘 재무제표 학습: 《재무제표 모르면 주식투자 절대 하지 마라》(사경인)
  • 📊 산업분석: 한국은행·IBK리서치·FRED·Statista
  • 💡 공시 확인: 전자공시 DART / KIND
  • 📈 차트 & 리포트: 네이버금융, Investing.com, 하나·미래에셋 리서치센터

9️⃣ 로드맵 요약

단계 핵심내용 실습 예시
1단계 사업모델 이해 삼성전자 매출 구조
2단계 재무제표 분석 손익·현금흐름표
3단계 비율분석 ROE·PER 비교
4단계 산업분석 TSMC vs 삼성전자
5단계 가치평가 DCF, PER법
6단계 인사이트 투자포인트 정리
7단계 리포트 작성 분석글 실습

💬 오늘의 정리: 기업분석은 숫자를 넘은 ‘이해의 과정’이다.
사업모델을 읽고, 재무를 해석하고, 산업을 바라보면 투자 인사이트가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