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3F로 본 AI 관련주 TOP10: 2025년 2분기 기관투자 트렌드 분석

13F 보고서 AI 종목 분석 이미지


📊 2025년 2분기 13F에서 드러난 AI 트렌드

2025년 2분기 13F 보고서를 종합 분석한 결과, 글로벌 주요 기관들은 여전히 인공지능(AI)·반도체·클라우드 인프라 분야에 집중하고 있었습니다. 특히, 엔비디아(NVIDIA)는 거의 모든 대형 기관 포트폴리오의 상위 3위 안에 들며, AI 인프라 중심의 장기 베팅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분석대상 기관: 버크셔해서웨이, 블랙록, ARK, 타이거글로벌, 피델리티, T.로우프라이스, 노르웨이연기금 등
✅ 기준 시점: 2025년 6월말 13F-HR 공시
✅ 주요 테마: AI 반도체,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로보틱스

---

🧠 AI 관련주 Top10 (기관 보유 상위 종목)

순위 종목명 보유기관(예시) 핵심 포인트
1 엔비디아 (NVIDIA) 블랙록, ARK, 타이거글로벌 AI 반도체·GPU 독점적 지위, 데이터센터 수요 폭발
2 마이크로소프트 (Microsoft) 버크셔해서웨이, 블랙록 오픈AI 파트너십, Copilot·Azure 성장
3 AMD ARK, 피델리티, T.로우프라이스 AI 가속칩 MI300 시리즈로 서버 시장 확대
4 알파벳 (Google) 블랙록, 캐피털그룹 Gemini 기반 AI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확충
5 아마존 (Amazon) 노르웨이연기금, 버크셔해서웨이 AWS 기반 AI 모델 훈련·호스팅 서비스 확장
6 메타 (Meta Platforms) 블랙록, 타이거글로벌 Llama 3 공개 이후 AI 모델 상용화 본격화
7 TSMC 피델리티, ARK AI 칩 대량생산 주력, 미국 애리조나 공장 확대
8 애플 (Apple) 버크셔해서웨이 AI 온디바이스 모델 ‘Apple Intelligence’ 탑재
9 팔란티어 (Palantir) ARK, 타이거글로벌 정부·국방용 AI 분석 플랫폼으로 급성장
10 서비스나우 (ServiceNow) 블랙록, 캐피털그룹 기업용 생성AI 솔루션 통합으로 수익성 향상

---

📈 기관 포트폴리오에서 본 AI 투자 패턴

① ‘AI 인프라 3대장’ 집중

엔비디아·AMD·TSMC는 반도체 밸류체인의 중심축으로, 대부분의 기관들이 공통으로 편입 중입니다. AI 시대의 ‘기반 하드웨어’ 기업이라는 공통된 투자 인식이 존재합니다.

② 소프트웨어 & 클라우드 확장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은 AI 모델 훈련과 클라우드 배포 플랫폼을 동시에 보유한 이중 수익 구조를 갖고 있어, 기관 비중이 지속 상승 중입니다.

③ 데이터·보안·AI 서비스주 부상

팔란티어, 서비스나우 등은 ‘AI 활용 실무화’ 단계에서 각광받는 종목으로, 정부·기업 계약 확대가 매분기 보고서에서 확인됩니다.

---

💡 개인투자자를 위한 실전전략

  • 1) AI 생태계별 분산투자: 반도체(NVDA, AMD), 인프라(AWS, Azure), 응용서비스(Palantir)로 나눠 리스크 분산
  • 2) ETF 활용: SOXX, SMH, QQQ 등 반도체·AI ETF 병행 투자
  • 3) 13F 데이터 비교: 분기별 동일 종목의 ‘보유량 변화’로 기관의 관점을 추적
  • 4) 시차 감안: 13F는 45일 지연 공개되므로 단기매매용이 아닌 장기 성장주 트래킹에 적합

---

🔍 참고자료 & 링크

📄 SEC EDGAR 공식사이트: 13F 원문 보기
📊 AI 관련 ETF 리스트: ETF.com - AI Channel

📂 13F 보고서 바로가기


이전글 👉 13F 보고서 보는 법 & 실전 투자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