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주.알.못 탈출 일기] 특집 – 대한민국 주식 시장 저평가의 진짜 이유와 해법
👉 코리아 디스카운트부터 상속세·지배구조 개편 방향까지 한 번에 정리
📌 목차
1. 왜 한국 증시는 ‘저평가’라고 할까?
PER·PBR 등 밸류에이션 지표가 글로벌 대비 낮게 형성되는 현상을 흔히 코리아 디스카운트라고 부릅니다. 단일 원인이 아니라 구조·제도·심리가 겹친 결과입니다.
2. 구조적 요인: 코리아 디스카운트와 산업 편중
- 지정학 리스크와 저성장 우려 → 위험 프리미엄 상존
- 산업 편중: 반도체·IT 비중이 커 업황 둔화 시 지수 변동성 확대
- 낮은 배당 성향 → 장기 보유 유인이 약함
3. 핵심 쟁점: 재벌·대기업의 주가 억누르기 관행
일부 대기업·재벌 그룹이 상속세 부담을 낮추기 위한 동기로 주가를 낮게 유지하려는 유인이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됩니다. 심지어 사내 비위·횡령 등 신뢰를 훼손하는 이슈 공시가 이어지며 시장 신뢰에 상처를 내기도 했죠. 이런 행태는 주주가치 훼손과 시장 저평가의 고착화로 이어집니다.
4. 제도적 요인: 지배구조·주주권·공매도 불신
- 경영 투명성 미흡, 오너리스크, 순환출자 등 지배구조 한계
- 주주권 보호 장벽: 의결권 행사·주총 참여의 실무적 번거로움
- 공매도 제도 신뢰 부족으로 개인 투자심리 위축
5. 시장 심리: 단기매매·외국인 수급 의존
- 단타·테마주 문화 → 장기적 기업가치보다 이벤트 의존
- 외국인 비중 高 → 환율·해외금리 변화에 지수 동조화
6. 해법: 입법·정책 패키지 제안(상속세·공시·환원·감시)
① 상속세 합리화 + 시세조종 억제
- 상속세율 합리화: OECD 평균 레벨 참고. 단, 고용 유지·배당 확대·자사주 소각 등 주주친화 요건 충족 시 한시적 인센티브 부여(성과 연동).
- 상속세 과세가액 산정 방식 개선: 상속 전·후 6~12개월 가중평균가 등 단일 시점 회피(주가 인위적 억제 유인 약화).
- 상속 목적의 가치 훼손 가중처벌: 상속 직전·직후 의도적 주가 왜곡은 자본시장법상 시세조종과 동일·가중 처벌.
② 기업공시·주총 제도 강화
- 경영진 비위·횡령 즉시공시 의무화, 지연 공시 과태료 상향.
- 경영진 중대 일탈 시 긴급 주총 의무소집, 전자투표 기본 적용.
③ 주주환원 의무·설명 책임
- 잉여금 대비 의무적 환원 가이드(배당·자사주 매입·소각 中 선택) 도입.
- 장기 시총 저조 기업의 설명 의무: 업종 대비 저조 시 원인·개선계획 정기 보고.
④ 감시·집행력 제고
- 특별감시팀 신설(금감원/공정위 협업)로 상속·지배구조 이슈 상시 점검.
- 내부고발 보상 상향 및 신원 보호 강화로 공익제보 활성화.
7. 개인 투자자 체크리스트(실전)
- 최근 5년 ROE·영업현금흐름·부채비율 확인(일회성 이익 경계)
- 배당 성향·자사주 소각 등 주주환원 히스토리 체크
- IR 공시에서 지배구조·내부통제 관련 이슈 점검
- 업종 대비 PER·PBR 차이의 이유를 먼저 규명
8. 요약: 한 문장으로 끝내기
“한국 증시의 저평가는 구조·제도·심리가 만든 복합 결과이므로, 상속세·공시·환원·감시를 묶은 실효적 개편과 주주친화 경영 확산이 해법이다.”
'은퇴 준비 연구소 > 저평가 우량주 장기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알.못 탈출 일기] Ep.9 –"상속세 떄문에 주가를 억누른다고?" 재벌·대기업의 주가 관리 논란, 핵심만 정리 (4) | 2025.08.13 |
---|---|
[주.알.못 탈출 일기] Ep.8 – 대주주 기준 50억 → 10억 강화, 무엇이 달라지나? (3) | 2025.08.11 |
[주.알.못 탈출 일기] Ep.7 – 주주총회, 의결권, 배당정책까지 한 번에 이해하기 (2) | 2025.08.07 |
[주.알.못 탈출 일기] Ep.6 – 배당기준일, 배당락, 지급일 완전 정리 (0) | 2025.08.06 |
[주.알.못 탈출 일기] Ep.5 – 배당수익률, 높다고 무조건 좋은 걸까? (1) | 2025.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