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번 포스팅에서는 4대 보험 중 공적연금, 그중 '국민연금'에 대해  말씀드릴 텐데요. 또 그중에서 가장 핵심, 나의 예상 연금 수령액은 얼마이고 어떻게 조회 가능한지 국민연금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대한민국의 사회보장제도에는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복지서비스 및 관련복지제도가 있습니다. 이중 사회보험에는 건강보험(질병) / 공적연금(노령) / 고용보험(실업) / 산재보험(상해) /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있습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 포함 5대 보험, 이를 제외한 나머지를 소위 4대 보험이라 칭합니다. 4대 보험은 각 관련 법령에 따라 가입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예상수령액-얼마일까-썸네일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학인 방법

내-국민연금-확인하러가기-사이트링크

1. 모바일 - 모바일 앱 '내 곁에 국민연금' 다운(공인인증 로그인)

 

2. PC - 국민연금공단 사이트 - 자주 찾는 서비스- 내 연금 알아보기 - 예상연금 조회(공인인증 로그인)

*로그인 없이 모의계산도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국민연금-월-지급액-별-수급자-현황
국민연금 수령액 표(2023년 기준), 출처 : 국민연금공단

 

가입자 및 금액별 수급 현황

2023년 3월 말 기준, 현재 가입자수는 22,289,345명이며 6,411,002명이 국민연금을 지급받고 있습니다. 금액별 지급현황을 보면 월 20~40만 원 수급자가 약 271만 명으로 가장 많고 월 20만 원 미만 수급자가 약 75만 명, 월 100만 원 이상이 66만 명 정도입니다. 한편 월 200만 원 이상 고액 수급자 1만 5천여 명에 이르고 20년 이상 장기가입자가 늘고 22년도 높은 물가상승률(5.1%)을 반영한 고액 수급자가 급증하고 있어 연금 고갈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앞으로 충분한 논의와 토론을 통해 합리적인 기금운영 방안도 마련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국민연금 수령 관련 자주 하는 질문

Q. 국민연금이 뭔가요?
A. 국민연금은 「국민연금법」에 근거, 국가가 운영하는 사회보험제도로 국민들은 경제활동(직장, 사업자) 기간 중 소득의 일정 부분을 보험료로 납부하고, 퇴직 후 연금을 받게 됩니다. 가입 대상은 '국내에 거주하는 국민으로서 18세 이상 60세 미만인 자'입니다.

 

Q. 얼마를 내야 하나요? 

A.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의 9%(본인 4.5%)

 

Q. 몇 살까지 내나요?
A. 가입기간이 60세 이전까지입니다. 본인이 원하면 60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납부가능합니다.

Q. 언제부터  수령하나요?

A. 고령화 추세를 반영, 1953~1956년생은 61세, 1957~1960년생은 62세, 1961~1964년생은 63세, 1965~1968년생은  64세, 그리고 1969년생 이후 출생자는 65세부터 연금을 수령합니다.


Q. 몇 년 동안 받나요?
A. 국민연금은 18세 이상 60세 미만 국민이면 가입가능합니다. 최소 120개월을 채운 후 수급 연령이 도래되면, 평생 매월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맺음말

소위 장수리스크라 불리는 '100세 시대'가 도래하고 있습니다. 생애주기별 노년기의 개념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평생직장의 개념 또한 사라졌습니다. 사회 진출하는 20대부터 노후에 대한 대비를 심도 있게 고민해야 할 시대가 왔다는 반증입니다. 노후설계 중 연금만큼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은 없을듯합니다. 국민연금 같은 공적연금뿐 아니라 기초연금, 사적연금 등 다양한 방안들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가장 우리 국민생활과 직결되고 중요한 연금이라면 국민연금을 들 수 있겠습니다. 국민연금은 모든 국민이 가입대상으로 강제성이 있고 소득분배로 사회통합기능을 가집니다. 또한 국가가 망하지 않는 한 반드시 지급합니다. 다시 말해 안전한 노후대비 수단입니다. 그리고 물가가 오른 만큼 연금액도 많아집니다. 국민의 노후 보장을 위해 국가가 강제성을 가지고 운영하는 사업인 만큼 많은 국민이 관심을 가져야 할 제도임에 틀림없습니다. 국가가 운영해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그래서 든든한 국민연금 잘 챙겨 두시기 바랍니다. 수시로 내 예상수령액이 얼마인지 관심을 가지고 조회를 해보는 것만으로 미래 나의 노후 설계에 큰 보탬이 될 것입니다. 이상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