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금한돈 몇그람 일까요? 금값이 급상승중입니다. 금값 시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만 오늘은 '금한돈 몇그람' 이라는 키워드로 가벼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실제 금한돈은 몇그람 일까요? 그리고 금값이 많이 오른 요즘 보유 중인 금을 파는 것도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실 텐데요. 금은 파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금한돈 몇그람 인가요?
금 한돈 : 3.75g
유년시절 90년대 돌반지로 금을 선물하면 약 10만 원 정도 했던 기억이 납니다. 30년이 지난 2025년 3월 현재, 60만 원을 육박하네요. 30년 사이 약 6배 상승이네요. 물가상승률을 충분히 헤지(hedgd)하는 자산이라는 것이 충분이 증명되네요. 아이의 건강하고 밝고 풍요로운 성장을 기원하는 의미로 선물했던 한돈 돌반지, 이제는 조금 어려울 거 같기도 합니다.
2. 금한돈이란?
'돈'이라는 단위는 한국의 전통적인 질량 단위로, 조선시대부터 사용되어 온 개념입니다. 금과 같은 귀금속이나 한약재 등 귀한 물품을 측정할 때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2-1. '돈' 단위의 유래와 의미
유래: '돈(匁, 몬메)'은 일본에서 유래된 단위입니다. 조선시대부터 금 또는 은을 거래할 때 사용되며 정착했습니다.
의미: 1돈 = 3.75g, 이 기준은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던 단위를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2-2. 금 무게 단위 정리
· 1돈 = 3.75g
· 1냥 = 10돈 = 37.5g
· 1근 = 16냥 = 600g
이처럼 '돈'은 한국의 전통 상거래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오늘날까지 금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2-3. 금의 순도 비교 (Karat 기준)
◆ 24K (순금)
금 함량이 99.9% 이상으로 가장 순수한 형태
무르기 때문에 주로 골드바나 순금 장신구로 활용
색상이 진한 노란빛을 띠며 부드럽습니다.
◆ 18K
금 함량 75%로,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며 주얼리로 인기가 많음
색상은 24K보다 옅은 연한 노란빛을 띠며, 장시간 착용하기 적합합니다.
◆ 14K / 10K
금 함량이 낮지만 강도가 높아 캐주얼 주얼리에 주로 사용
색상이 24K보다 더 옅고 약간의 은색 빛이 도는 경우가 많음
3. 실물 금 파는 방법
(사진 3장)
3-1. 금 시세 확인
한국거래소(KRX), 은행, 금은방 웹사이트에서 실시간 금 시세를 확인하세요.
금 시세는 1g 기준 가격으로 표기되며, 판매 시 수수료를 감안해야 합니다.
예시: "금 1g = 100,000원"일 경우, 1돈(3.75g) = 약 375,000원
금시세닷컴: 금값 시세 확인하기
금은 오랜 세월 동안 귀금속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아왔습니다. 투자자들에게는 안전 자산으로 인식되며, 특히 경제적 불확실성이 클 때는 금 투자가 더욱 주목받습니다. 금시세닷컴은 금 시
chemirang.com
3-2. 금 상태 점검
골드바, 순금반지, 목걸이 등 보유한 금의 종류와 상태를 파악하세요.
순도 인증서(감정서)가 있으면 더 좋은 가격에 판매 가능합니다.
흠집, 변색 여부에 따라 감가상각이 발생할 수 있으니 깨끗하게 관리하세요.
3-3. 신뢰 있는 판매처 선택
금을 판매할 수 있는 곳은 아래와 같습니다.
3-4. 판매 시 유의사항
- 신분증 지참: 도난 방지 목적으로 대부분의 판매처에서 신분증이 필요합니다.
- 금 무게 측정 확인: 판매처에서 측정하는 무게가 정확한지 꼼꼼히 확인하세요.
- 영수증 받기: 거래 후에는 영수증이나 거래내역서를 반드시 보관하세요.
3-5. 금 판매시 Tip
금의 시세는 경제상황, 국제 정세 등에 따라 변동이 상당히 큽니다.
달러강세, 경기 불안정 시 금값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으니 판매시기를 잘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맺음말
지금까지 금한돈 몇그람 이라는 키워드로 가볍게 금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았습니다. 금한돈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였지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특히 요즘 금값 상승으로 처분을 알아보고 계신 분들이 라면 유의사항을 잘 참고하셔서 좋은 가격으로 판매하시고 더 좋은 투자 하시면 좋겠네요.